2008년 12월 30일 화요일
무척 오랜만에...
2008년 8월 19일 화요일
건국60년, 60일 연속 강연....(2)
어쩌다가 이런 행사와 관련을 갖게 되었는지...
점점 강사들이 엉망입니다. 쓰레기들 까지 나와서 떠들고 있습니다.
답답하네요. 왜 이 행사를 홍보하지 않는지 알겠습니다.
누가 그러더군요. 홍보하는 즉시 정치적으로도 욕을 먹고 행사자체의 수준으로도
욕을 먹을거라고...
해방 63년 정부 수립 60년 이렇게 한다고 아무도 뭐라 하지 않았을텐데
속보이게 해방 63년은 지워버리고 세금을 이렇게 쓰다니...
창비 주간 논평에서 그러더군요.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속편에 보면 앨리스가 열심히 뛰는 장면이 있답니다.
《이상한 나라의 앨리스》의 속편 《거울 나라의 앨리스》에서 앨리스는 붉은
여왕과 함께 미칠 듯이 달리지만 이상하게도 제자리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이때 붉은 여왕은 깜짝 놀란 앨리스에게 말한다. "여기서는 같은 자리에 계속
있고 싶으면 힘껏 달려야 해. 다른 곳에 가고 싶다면, 적어도 그 두배는 빨리
달려야 하지." 그렇다. 우리는 민주주의에 대해, 적어도 한국의 민주주의에
대해 오해하고 있었다. 민주주의의 제자리라도 지키려면 죽을힘을 다해 달려야
한다는 것, 그 노력을 게을리할 때 민주주의는 순식간에 뒤로 처지고 만다는
것을 뒤늦게 깨닫고 있는 것이다. 갑자기 민주주의의 문제는 너무 시급해져서,
시한폭탄을 장착한 것 같은 양극화와 비정규직 문제조차 사치스러울 지경이다.
민주주의는 죽을힘을 다할 때 지켜지는 것
이제 이명박정부는 무고한 사람을 고문하고 정치사찰만 하면 군사독재정부와
똑같은 정부가 된다. 앞의 것은 쉽지 않다고 생각되지만, 뒤의 것은 장담할 수
없다. 어느 현명한 판사에게 재판과 관련한 전화를 걸었다가 망신당한 국정원
직원의 사례는 어떤 징조를 보여주고 있다.
도대체 이 정부의 정체는 무엇일까?
정말 뭘까요?
빅토르 하라...
제 블로그에 들르시는 분들은 거의 없지만 혹시 들어오시는 분들 있으시면 잠깐
2008년 7월 27일 일요일
건국 60년, 60일 연속 강연...
건국 60년이라고 하는것 부터 잘못되었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광복절을 은근히 건국절로 부르려 한다는 행태를 나무라는 글이었는데 일리있습니다.
어쨌건 들어보니 일정한 흐름은 없습니다.
아마 기획한 사람의 의도가 뚜렷하지 않았던것 같습니다.
강사들이 여럿 나오는데 한비야 강사는 세가지 말을 하더군요.
머리, 가슴, 손 세가지 였습니다.
첫째, 머리속에 세계지도를 넣어라.
뉴스를 보면서 나오는 세계 여러곳의 지명을 지도를 놓고 찾아봐라,그것을
1년 정도 하게 되면 세계지도가 머리속에 들어온다.
둘째, 내 가슴이 뛰는 일을 하고 있는지 돌아보라.
왜 그 일을 하냐고 누가 물으면 " 무엇보다도 그 일은 내 가슴(심장)을 뛰게 하기
때문이야." 라고 대답한다면 얼마나 좋겠는가...
세번째, 세상은 밀림의 법칙, 자본의 법칙으로 움직이지만 다른 하나의 바퀴가 있는데
그것이 사랑과 화해, 헌신의 바퀴이고 그 둘의 바퀴로 세상은 움직이는 것 같다.
손으로 사랑과 화해, 헌신의 바퀴를 돌리는 일을 하자....
대강 이런 얘기들이었습니다.
유교학자분이 강사로 나와서 한 얘기중 기억나는 것은 유교를 오늘에 되살릴만한 내용이 있는가를
따지기 시작해서 그럴만한 가치있는 내용들이 있다는 것이었고 특히 얘기중에 다른 종교와 비교해서
죽음 이후에 대한 내용이 없지만 유교식의 영생, 죽음 후의 삶에 대해서 얘기한 것이 이채롭습니다.
그분은 '제사'라고 하더군요. 죽은 사람을 기억하는 사람들 속에서 그 죽은 사람은 계속 살아있는 것이라는 말이었습니다.
가끔 어디선가 몇 군데서 듣던 말이죠.
그 중의 한 군데는 판타지 소설 '드래곤 라자'의 어느 숲에 대한 부분...
그 숲에 들어갔다가 나오면 그 자신도 그렇고 그를 알던 사람들도 그를 서서히 잊어간다는 숲...
결국 그가 세상에 존재했거나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아는 사람이 아무도 남지 않고
없어진다는 것이죠.
자신조차도 말입니다.
2008년 7월 15일 화요일
페미니즘의 도전 을 읽고...
격언(1)
사랑과 기술이 손을 잡을 때, 걸작을 기대할 수 있다.
- 존 러스킨
지식은 사랑과 인간, 자유의 원칙이 동시에 솟아나는 유일한 샘이다.
- 다니엘 웹스터
커뮤니케이션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말을 하려하지 말고 말을 들어라.
- 피터 드러커
촛불을 소화기로 끄는 대단한 정부....
대단한 대통령....
촛불이 꺼지지 않고 오히려 계속 켜지고 있습니다.
촛불도 모이니까 뜨거웠는지 좀 데이고 나더니 소화기로
끄려하는군요.
세계적인 국민대중, 세계적인 엽기를 보이는 정부..
시민방송녀를 접하면서..
많이 퍼져 있더군요.
기술의 발달, 덕분에 더욱 가까워진 예술....
많은 대중들의 기발한 참여들을 보면서
참 예술적이구나 라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아주 쉽게 전파되는 즐거운 따라하기, 더욱 신나는 모습들...
군중문예라는 것이 어떤 것인가,,,,
이런 것이 보다 많은 사람들이 기술과 예술등에서 주인이 되는 것이겠지요.
이미 촛불들이 켜지면서 과거와는 비할 수 없는 주인들의 모습을 보고 있지만...
2008년 6월 13일 금요일
6.10 을 지나고 또 다시 앞으로...
2008년 6월 2일 월요일
이런 것이다...
과거에 읽은 책에 이런 글귀가 있었습니다.
대부분의 명작이라 불리는 것은 당대의 민중들을 대변하고 있었다....
정확한 표현은 기억나지 않지만 그랬던 것 같습니다.
예술가들이 시대와 같이 할 때 뭔가 되는것 같습니다.
유행따라 가는것과는 다른 무엇이 되어 가는것...
어제 촛불문화제, 이제는 뚜렷한 투쟁이 되어 버린 광화문 대로에서
예술 활동 하는 후배들을 만났습니다.
그들의 삶이 시대의 현장에 있는 것 만큼
그들의 작품도 시대를 관통하기를 바랍니다.
승리가 예약된 투쟁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