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7월 27일 일요일

건국 60년, 60일 연속 강연...

건국 60년이라고 하는것 부터 잘못되었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광복절을 은근히 건국절로 부르려 한다는 행태를 나무라는 글이었는데 일리있습니다.


 

어쨌건 들어보니 일정한 흐름은 없습니다.


아마 기획한 사람의 의도가 뚜렷하지 않았던것 같습니다.


 


강사들이 여럿 나오는데 한비야 강사는 세가지 말을 하더군요.


머리, 가슴, 손  세가지 였습니다.



 

첫째,  머리속에 세계지도를 넣어라.


       

         뉴스를 보면서 나오는 세계 여러곳의 지명을 지도를 놓고 찾아봐라,그것을


         1년 정도 하게 되면 세계지도가 머리속에 들어온다.

 


둘째, 내 가슴이 뛰는 일을 하고 있는지 돌아보라.


 


        왜 그 일을 하냐고 누가 물으면 " 무엇보다도 그 일은 내 가슴(심장)을 뛰게 하기


        때문이야." 라고 대답한다면 얼마나 좋겠는가...


 


세번째, 세상은 밀림의 법칙, 자본의 법칙으로 움직이지만 다른 하나의 바퀴가 있는데


           그것이 사랑과 화해, 헌신의 바퀴이고 그 둘의 바퀴로 세상은 움직이는 것 같다.


           손으로 사랑과 화해, 헌신의 바퀴를 돌리는 일을 하자....


 


대강 이런 얘기들이었습니다.

 


 

유교학자분이 강사로 나와서 한 얘기중 기억나는 것은 유교를 오늘에 되살릴만한 내용이 있는가를


따지기 시작해서 그럴만한 가치있는 내용들이 있다는 것이었고 특히 얘기중에 다른 종교와 비교해서


죽음 이후에 대한 내용이 없지만 유교식의 영생, 죽음 후의 삶에 대해서 얘기한 것이 이채롭습니다.


 

그분은 '제사'라고 하더군요. 죽은 사람을 기억하는 사람들 속에서 그 죽은 사람은 계속 살아있는 것이라는 말이었습니다.


 

가끔 어디선가 몇 군데서 듣던 말이죠.


그 중의 한 군데는 판타지 소설 '드래곤 라자'의 어느 숲에 대한 부분...  


그 숲에 들어갔다가 나오면 그 자신도 그렇고 그를 알던 사람들도 그를 서서히 잊어간다는 숲...  


결국 그가 세상에 존재했거나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아는 사람이 아무도 남지 않고


없어진다는 것이죠.

 


자신조차도 말입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