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10월 12일 금요일

원격블로깅툴, 글쓰기...

스크라이브파이어를 설치해서 사용해봤다.

컴맹이다보니 이런저런 방법을 쓰면서 하나씩 해보다가 어느 정도 알게 되었다. 

재미있는 원격블로깅툴이다. 윈도우라이브와는 다르지만 쓸만한것 같다. 여러 블로그에 글을 올릴 수 있다는 장점이 큰 것 같다. 사진도 올릴 수 있고 동영상도 올릴 수 있다. 카테고리를 설정해줘야 하고 , 카테고리 없이 태그로만 사용하는 사람은 태그를 선택해줘야 한다. 굳이 단점이라면 카테고리는 하나밖에 선택할 수 없다는 것.  덕분에 태그도 하나만 선택해야 한다. 

 

이런 저런 좋은 방법을 알게 된 셈이다.  하지만 역시 중요한 것은 글쓰는 도구가 아니라 글쓰는 노력이다. 노력없이 볼만한 글이 나오지 않고 노력없이 시작했다가 결국 글을 제대로 끝맺지 못하고 엉뚱한 길로 빠지는 경우가 허다한 것 같다.  요즘 글을 몇 편 올렸는데 내가 봐도 너무 내용이 부실하고 성의없어 보인다. 김훈 작가는 아침에 일어나서 작업실에서 매일 8시간 이상 글을 쓴다고 한다. 김훈 뿐 아니라 그렇게 하는 작가들은 더 있다. 그것이 올바른 모습이라고 생각한다. 보통 사람이 직장에 나가 일하듯이 글을 쓰는것, 예술활동을 하는 것, 그런것이 바람직한 모습일 것이다.  물론 블로그에 글을 올리는 것이 작가들 수준으로 해야 하는 건 아니지만, 누군가에게 읽혀지기를 바라는 마음이 있다면 좀 성의를 갖고 노력하는 모습이 필요할 것이다.

 

블로그를 하면서 재미있는 것도 있고, 그냥 방치하기도 하고, 그러면서 지금까지 왔는데 며칠동안 원격블로깅툴 스크라이브파이어를 설치해서 재미있게 글을 써봤다.  그런데 굳이 사용할 필요가 있을까 싶다. 내가 블로그를  몇개씩 운영하는 유명한 블로거도 아닌데 말이다. 로그인 안하고 글쓰는 건 편한 점이라 하겠지만....

2012년 10월 10일 수요일

참으로 강력한 중독성, 구글 서비스

제목 그대로다. 구글 서비스는 강력한 중독성을 지녔다. 언제부턴가 나는 크롬을 쓰고 있고 지메일을 쓰고 있다.  

구글을 쓰게된 계기는 몇년전에 '우리나라 메일서비스는 언제든지 정부가 볼 수 있다'는 것을 들었을 때였다. 외국서비스라고 해서 안전한건 아니라고 들었지만, 일단 구글을 열어보려면 미국정부기관에 연락하고 이런저런 절차를 거쳐야 한다고 해서 구글의 지메일을 선택해서 사용했다. 곧 내 다른 메일들이 지메일로 흡수(?)되었고 강력한 라벨기능과 필터기능에 푹 빠졌다. 분명히 다른 메일서비스와는 달랐다. 그러다가 도아님이 운영하는 '도아의 세상사는 이야기'라는 블로그에서 크롬을 알게 되었고 지금까지 주로 쓰는 웹브라우저가 되었다.(나중에 알고 보니 도아님은 무지 유명한 분이었다. 내가 컴맹임을 깨닫고 조금씩 알아가는데 큰 도움을 얻었던 블로그이다.)  시간이 지나면서 구글문서도구(현재는 구글드라이브), 구글캘린더를 사용하게 되고 최근에는 피카사와 구글플러스까지 사용하고 있다.

 

이런 중독성 강한 서비스들을 만들어내고 그걸 무료로 제공하는 구글의 속을 알수는 없지만 사용할 수록 다른 서비스를 쳐다보게 되지 않는다. 구글캘린더는 직장동료들과 일정을 공유할 때 막강한 힘을 발휘한다. 더구나 아이폰을 사용하면서 (다른 스마트폰도 마찬가지로 연동이 되겠지만) 일정연동과 메일연동 등을 사용하니 구글서비스는 거의 필수가 되어 버렸다.

 

구글에 많은걸 맡긴 지금 구글이 망하거나 구글서버가 망가지면, 또는 구글이 내 자료를 훔쳐본다면 어쩌나 하는 생각이 들곤 하는데 어느 정도는 구글을 믿기로 했으니 감수할 부분이다. 믿지 못하면 쓰지 않으면 되는 것이다.

 

얼마전부터 원격블로깅툴인 스크라이브파이어 scribefire 를 크롬에서 사용하는 중이고, 며칠전에 '구글플러스,페이스북,트위터에 같이 글올리기 시험중'이란 글에도 썼듯이 구글플러스도 조금씩 사용해보는 중이다.  

 

 

구글이 망하지 않기를 바란다. 정확하게는 구글서비스가 계속 유지되기를 바라는 것이다.


2012년 10월 8일 월요일

크롬 스크라이브파이어에서 링크걸기가 안되고 있다

이 부가기능을 열면 아래 그림처럼 나온다. 링크가 비활성화 되어있다. 어찌 된 건지 알수없다.해결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 있다면 ..... 


전에 얘기했던 것처럼 맥 크롬이고, XP에서도 안되는 건 여전하다.  아래는 맥에서 파이어폭스를 깔고 스크리베파이어 scribefire  를 열어본 그림이다. 여기서는 링크표시가 있다.유튜브 왼쪽에 있는것이 그림 넣는 버튼이고 그 왼쪽이 링크거는 버튼이다.  내가 잘 모르는 건지 ...



이글을 쓰면서 지금 생각난 방법이 있어서 했더니 된다. 어이 없다. 조금만 생각해보면 되는 것을 너무 생각을 못했다. 방법은 간단했다. 링크할 주소를 복사해서 스크라이브파이어 scribefire  에서 붙여넣고 그 주소를 드래그 하면 링크 버튼이 활성화 된다.

아래와 같이...

참 단순한건데 모르면, 생각없으면 이렇게 되는 것 같다.     

이런,   이제 그림이 너무 작다. 그림은 또 어떻게 키우나....

2012년 10월 6일 토요일

구글플러스, 페이스북. 트위터에 같이 글 올리기 시험중....

 

 

얼마전부터 구글플러스도 해볼까 하는 생각에 페이스북과 트위터를 연동시켜 글을 한번에 페북과 트위터에 올려주는 방법을 찾고 있다. 어떤것이던 아무것도 모르면서 혼자 알아내는 건 어렵다. 더구나 영어도 잘 못하는데...  

세가지를 연동시키는 방법을 지금까지 인터넷을 통해 알아봤는데 지금 써보는 건 크롬의 부가기능인 스트림피드streamified 이다. 설치하면 여러가지 SNS를 동시에 관리할 수 있다고 하는것 같은데 기능이 제한되어 있는듯 하고 모든 기능을 사용하려면 돈을 내야 하는 것 같다. 일단 깔고 해보았다.

 

 

 

 

윈도우XP에서 해보니 구글플러스에서는 글을 쓸때 밑에 공유할 SNS 버튼이 보인다. 글을 쓰고 나서 같이 글을 올리고 싶은 버튼을 클릭하고 공유하기를 누르면 각 서비스에 글이 올라가 있는걸 확인할 수 있다. 그냥 크롬 화면 오른쪽 위에 나타나 있는 스트림피드streamified 버튼을 누르면 작은 글쓰기 창이 나타나는데 여기도 구글플러스 처럼 밑에 공유할 SNS 버튼이 있다. 글을 쓰고 공유하고픈 버튼을 누르는 것은 구글플러스에서와 같다. 이 경우에는 기능이 하나 더 있는데 현재 있는 웹페이지 링크가 같이 걸린다. 뉴스 같은걸 읽다가 알리고 싶은 페이지가 있을때 이 방법을 쓰면 좋은것 같다. 비틀리bitly 와 비슷한 기능이다. 그런데 이 방법으로는 구글플러스에 글을 올리지 못하는것 같다. 현재('12.10월) 구글플러스는 트윗 처럼 외부에서 글을 써서 올리는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다고 한다. 

 

 

 

 

 

왼쪽위 표시는 원래 홈버튼인데 XP 에서는 이렇게 바뀌었다.

맥에서는 그대로 홈버튼이다.  (지금 보니 맥에서도 바뀐채로 있다.분명히 안바뀌어 있었는데, 알 수 없는 일이다)

글쓰기 밑에 있는 표시는 페이스북과 트위터에 연동할 지 선택하는 버튼이다.

 

 

 

이 스트림피드streamified를 시험하다가 알게 된 것인데 페이스북에 있는 뉴스피드에는 스트림피드streamified  로 올린 글은 나타나지 않는것 같다. 내 타임라인에선 보인다. 페이스북에서 글을 쓰면 내 뉴스피드와 타임라인에 동시에 글이 보이는 걸 알 수 있는데 외부에서 글을 써서 올리면 이렇게 타임라인에서는 보이고 뉴스피드에서는 안보이는 경우가 자주 있다. 심지어 아이폰 페이스북앱에서 글을 써서 올릴때도 그런다. 트윗에서 #fb 써서 페이스북에 올리기도 하는데 여태까지는 아무런 문제가 없었는데 스트림피드streamified   를 시험해보면서 부터 페이스북의 내 타임라인에는 보이는데 뉴스피드에는 글이 보이지 않는다. 페이스북에서 나는 전체 공개로 하지 않고 '친구만' 공개를 기본으로 하고 있다. 그래서 벌어지는 일인가 싶기도 하다. 누군가 잘 아는 분이 알려주면 고맙겠다. 

 

 

 

 

맥에서 해보니 XP와 비슷한 모습이다. 그런데 구글플러스에서 다른 곳으로 글을 같이 올리는 버튼(그림에서 글쓰기 밑에 있는 버튼)이 안 보인다. 좀 더 해봐야 할 것 같다.

 

(음, 좀 더 해보니 나타났다. 아마 연결되는 데 시간이 걸린것 같다.)

 


 

 

 

이렇게까지 하면서 여러곳에 글을 올리고 싶냐는 사람도 있는데, 일단 이런저런 방법과 프로그램을 써본다는게 재미있어서라고 대답해본다.  글을 쓰면서 내용이 중요한데 내용은 채우지 못하면서 괜히 힘만 낭비하는게 아닌가 하는 생각도 하지만......

뭔가 조금씩 알아간다는 점에서 해볼맘이 생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