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4월 19일 금요일

Sound Systems: Design and Optimization 메모 2

p.170.

스펙트럼 (Spectral) 써메이션 존 요약 

표준스펙트럼 써메이션 존 과정은 반드시 기억하고 있어야 한다.

 

 써메이션 존 요약

 Comb 주파수(F) =1/시간 오프셋

 커플링 존(Coupling zone)은 120위상 오프셋까지 지속된다(1/3 F = Peak 0의 끝)

 만일 레벨 오프셋이 <=4dB 이면, Combing zone은 120도 위상 오프셋에서 시작한다. Dip1 = 1/2 F, Peak 1 =F.

 트랜지션 존(Transition zone)은 레벨 오프셋이 4 ~ 10dB 사이일 때 120도오프셋에서 시작한다

 아이솔레이선 존(Isolation zone)은 위상 오프셋과는 관계없이 10dB 레벨 오프셋에서 시작한다

 

 

p.178.

써메이션 존 과정

써메이션 존은 몇 가지 표준 크로스오버 과정을 따른다. [그림 422 참조] A + B 를 더하고 그것들을 따라가자.

 

1단계(커플링(AB) : 지향성이 거의 없거나 전혀 없는 스피커는 근접 효과와 비슷하다 예 : 서브 우퍼

 

2단계(커플링(AB)에서 캔슬레이션(AB)까지 : 전면에서는 커플링, 후면에서는 캔슬레이션.  이 패턴은 카디오이드 어레이에서 사용된다.

 

3단계(아이솔레이션(A)와 커플링(AB)에서 아이솔레이션(B)까지) : 스펙트럼 크로스오버에서는 달성이 가능하지만, 풀 레인지 공간 크로스오버에서는 훨씬 어렵다. 주파수가 높아지면 더 많은 영역이 코밍 존과 트랜지션 존으로 이동할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기 때문에 현실적인 목표는 제거가 아니라 최소화이다.

 

5단계(아이솔레이션(A)에서 트랜지션(AB), 커플링(AB), 트랜지션(BA), 아이솔레이션(B)으로) : 커버리지 각도가 코밍을 방지하기 위해 충분한 아이솔레이션을 제공하는 경우 결합된 어레이에서 실제로 달성 가능하다.


7단계(이이솔레이션(A)에서 트랜지션(AB), 코밍(AB), 커플링(AB), 코밍(BA), 트랜지션(BA), 아이솔레이션(B)으로) : 이것이 전체 과정이다. 이런 과정은 코밍이 시작하기 전 아이솔레이션을 달성하기 힘들 때 발생한다. HF는 종종 유일한 실용적인 옵션일 경우가 있다. 커플링 혹은 아이솔레이션 존 보다는 코밍 존이 발생하는 경우, 낮은 등급으로 평가될 것이다.

 













2024년 4월 13일 토요일

Sound Systems: Design and Optimization 메모 1

 

 

p.25.

 1V = 0dBV = +2.21dBu

 8V = +18dBV = +20.21dBu

 0dBu = -2.21dBV (p.39.) 



p.28.

(위상) 응답 그래프에는 종종 360수직 스케일의 한계를 초과하위상 응답을 표시하는 

 “랩 어라운드(wraparound)"가 포함된다

 

 

p.29.

위상 변이 PHASE SHIFT : 단일 장치 또는 시스템 내부에서 발생

위상 오프셋 PHASE OFFSET : 장치 또는 시스템 사이에서 발생

 

 

p.40.

- dB SPL 피크 : 주어진 시간 동안 측정된 값들 중 최고 레벨을 피크라 부르며 dB SPLpk 로 나타낸다

dB SPL continuous(fast) : 250ms 동안 측정된 SPL 평균값. 이 방식은 짧은 시간 동안 발생한 사운드를 인지하는 인간의 청각 시스템 SPL/라우드니스 인식을 모방한 것. 인간의 귀가 사운드 레벨을 완전하게 인지하기 위해서는 100ms 정도가 필요하다

- dB SPL continuous(slow) : 비교적 긴 시간 동안 발생하는 사운드를 인지하는 인간의 청각 시스템을 모방하고, 열 부하를 더 잘 나타내기 위해 시간을 1초로 확장

 - dB SPL LE(long term) : 이 값은 아주 긴 시간 동안 측정된 값의 평균 SPL로, 일반적으로 수 분 동안 측정된다. 이 방식은 소음에 대해 민원이 있는 실외 콘서트의 레벨을 모니터링하는데 사용된다.



주택, 아파트 면적 확인하기

국토교통부에서 운영하는 누리집이라고 하는 곳이다 

K-Geo플랫폼 인터넷 (kgeop.go.kr)

 건물정보를 클릭한 후에 주소 써 넣고 검색하면 전용면적과 공용면적을 알 수 있다. 

 법적 효력은 없다고 한다.

 법적으로 정확한 것은 건축물대장을 발급받아야 한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