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10월 29일 목요일

오디오 믹싱 콘솔 사용법 - 콘솔 레벨, 게인 설정

   아주 기본에 속하는 내용인만큼 아주 중요하다. 비록 녹음 스튜디오, 방송국, 라이브 사운드가 좀 차이는 나지만 기본을 따지면 일맥상통한다. 다음 내용은 일반적이고 원칙적인 것이다.


   다른 장비들과 연결을 완벽하게 한 상태이고 마이크 연결도 되어 있는 상태라고 가정한다. 
  1. 게인을 최소로 한다.
  2. EQ 레벨 노브를 유니티(또는 0)에 둔다
  3. 패드가 있으면 풀어놓고 로우컷도 풀어둔다.
  4. 팬 노브 가운데 위치
  5. 자신의 콘솔이 각 채널 마다 입력레벨 미터가 있는가? 있다면 그걸 사용한다. 없다면 해당 채널의 PFL 스위치를 누르고 PFL 레벨미터를 사용한다.
  6. 해당 채널이 킥 드럼 마이크라고 가정한다. 킥 드럼을 간격을 충분히 두고, 공연할 때 처럼 힘차게 밟으라고 요청한다. 채널 입력 미터 또는 PFL 레벨미터를 보면서 게인 노브를 서서히 돌려서 게인을 올린다.
  7. 사용하는 콘솔이 아나로그이건 디지털이건 레벨미터에서 +4dBu 위치를 알아두어야 한다. 레벨미터에서 아나로그 콘솔은 0으로 표시되어 있는 경우가 많고, 디지털은 제조사마다 다르다. -24, -20, -18 등등...(난 Qbox를 사용해서 확인한다.)
  8. 킥의 최고 레벨이 콘솔 레벨미터에서 0~+4dBu 사이에 오도록 한다. (야마하 sound reinforcement handbook 에는 기본적으로 입력레벨을 +4dBu 정도에 맞추라고 되어 있다.그런데 연주자들이 사운드체크할 때보다 실제 공연에서 더 크게 연주하는 경우가 자주 있어서 감안할 필요도 있다. ) 
  9. 채널 페이더를 유니티게인에 위치시킨다. (대부분 0 또는 U 라고 표시되어 있다.)
  10. 마스터 페이더를 유니티게인에 위치시킨다.
  11. 메인스피커를 통해서 나오는 소리를 들으면서 채널 EQ, 컴프 등을 설정한다.
  12. 필요하다면 다시 레벨미터를 보면서 게인을 조절한다.(8번을 다시 한다)
  13. 다른 모든 채널에도 이렇게 진행한다.  

   악기마다 조금 다를 수도 있다. 키보드 또는 드럼에서 심벌이나 하이햇은 게인을 기준보다 작게 잡기도 하고 메인보컬은 좀 크게 잡기도 한다. 또는 킥드럼이나 베이스기타는 좀 더 크게 잡기도 한다. 저음이다 보니 다른 것보다 크게 잡는게 믹싱할 때 알맞을 수도 있다.


   이렇게 레벨미터에서 0~+4dBu 위치를 기준으로 보면서 잡고 각 채널 게인을 설정하면 드럼, 베이스, 일렉기타, 키보드 정도의 기본적인 밴드 구성일 때 각 채널 페이더의 움직임은 매우 적게 될 것이다. 그리고 마스터 페이더의 출력레벨미터는 믹싱된 소스가 최고치일 때도 클리핑이 되지 않을 것이다.

   객석의 소리크기는 음악을 틀면서 앰프와 스피커 구성을 통해서 맞추는 경우가 많다. 다음 기회에 글을 올려보겠다.





참고 :  콘솔 레벨미터 확인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