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box를 사용해보니 무척 편하다. 요즘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은 콘솔 레벨미터의 정확한 크기를 확인하는 것이다. (메뉴얼에는 2dB정도 차이가 날 수 있다고 써있다.)
꼭 Q box가 아니어도 +4dBm 을 쏴주는 장치가 있다면 좋을것이다. 베링거에서 나온 CT 100 이라는 케이블 테스터가 있는데 거기에도 제네레이터가 있다. 440Hz, 1kHz 두가지로 주파수를 설정할 수 있고, -50dBm, -10dBV, +4dBm 세가지 크기로 출력된다고 메뉴얼에 나와있다.
위 방법은 출력단에서 +4dBm 을 확인할 수 있는 장비가 있는 경우에 가능하다. 원래는 사인파 오실레이터 sine wave oscillator 로 레벨을 설정해서 신호를 쏘고 정밀한 테스터기나 오실로스코프 oscilloscope 로 확인해야 하는데 간단하게 Qbox와 VU메타로 하는 방법을 말한 것이다. 이 방법을 쓰기 전에 VU메타의 0VU 를 확인하기 위해 Qbox로 VU메타가 장착된 장비로 +4dB를 쏴 보고 확인해야 한다.


- 콘솔과 연결하고 tone 을 선택한다.
- 콘솔과 연결한 채널의 게인을 최소로 줄인다.
- PFL 등을 이용해서 해당 채널 인풋레벨미터 확인
- Qbox에서 -20dB 선택한다. 인풋레벨미터 확인
- +4dB 선택하고 인풋레벨미터 확인.
- 채널 페이더 유니티 게인 위치.
- 마스터 페이더 유니티 게인 위치. 출력 레벨미터 확인.(앰프가 꺼져있거나 스피커와 연결하지 않은 상태)
- 콘솔 출력단에 +4dB를 확인할 수 있는 장비 연결(VU 메터가 장착되어 있거나 확실한 기준을 알고 있는 레벨미터가 있는 장비)
- VU 메터에서 0VU 에 바늘이 위치하는지 확인.
- 아마 VU메터의 0VU에 못미치는 곳에서 바늘이 위치할 것이다.
- VU메터를 보면서 바늘이 0VU에 올때까지 채널 게인을 서서히 올린다.
- 바늘이 0VU에 오면 게인 올리는 것을 멈춘다.
- 채널 인풋 레벨미터, 마스터 출력 레벨미터 확인.
- 이제 콘솔 레벨미터 확인이 끝났다. Qbox 연결 해제.
꼭 Q box가 아니어도 +4dBm 을 쏴주는 장치가 있다면 좋을것이다. 베링거에서 나온 CT 100 이라는 케이블 테스터가 있는데 거기에도 제네레이터가 있다. 440Hz, 1kHz 두가지로 주파수를 설정할 수 있고, -50dBm, -10dBV, +4dBm 세가지 크기로 출력된다고 메뉴얼에 나와있다.
위 방법은 출력단에서 +4dBm 을 확인할 수 있는 장비가 있는 경우에 가능하다. 원래는 사인파 오실레이터 sine wave oscillator 로 레벨을 설정해서 신호를 쏘고 정밀한 테스터기나 오실로스코프 oscilloscope 로 확인해야 하는데 간단하게 Qbox와 VU메타로 하는 방법을 말한 것이다. 이 방법을 쓰기 전에 VU메타의 0VU 를 확인하기 위해 Qbox로 VU메타가 장착된 장비로 +4dB를 쏴 보고 확인해야 한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