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8월 3일 토요일

음향장비 정격입력이란?

정격: 기기에 장시간 공급해도 이상이 생기지 않는 최대의 입출력 전압, 전력

전기를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해 전기기기나 전기기구에는 정격이라는 것이 정해져 있다. 정격이란 전기용품을 안전하게 사용하기 위해서 한계를 표시한 것이다.

 

음향장비의 정격입력 

파워앰프는 최대치를 말하고 음향콘솔은 헤드룸이 있는 상태에서 가장 안정적인 크기를 말한다

파워를 가진 장비, 이를테면 모터 등에서는 최대치를 말한다

2024년 5월 21일 화요일

TotalMix, Logic 사용할 때 Logic 메인 아웃풋을 다르게 사용하기


 

TotalMix와 Logic을 사용하면서 유튜브, 아이튠즈로 소리를 듣는 것과  
Logic으로 플레이하는 음원 출력 페이더 설정을 다르게 하는 방법을 찾았다.
 
TotalMix 에서 위쪽 페이더는 인풋이고, 가운데 페이더들은 소프트웨어 들에 설정할 수 있는 페이더들이다.
 
보통 AN 1/2, AN 3/4 이런식으로 표기되어 있다.
 
여기 페이더 중에서 AN 1/2 는 유튜브, 아이튠즈 등 컴퓨터 기본 출력으로 하고 
AN 3/4는 로직 메인 출력으로 설정하는 방법이다  
 
내가 쓰는 인터페이스 메인 아웃은 모니터 스피커로 연결되어 있다
 
TotalMix 메인페이더는 0dB에 위치시킨다.

AN 3/4 페이더 를 Logic으로 설정하기
 
Logic을 연다. 
  • preference 또는 setting
  • Audio
  • device
  • Output device 에 장비 설정 확인
  • I/O Assignments 탭 선택
  • Output 탭
  • Output 에 커서를 갖다대면 내 장비에서 선택가능한 Output 이 나온다
  • Output 3/4 선택
  • 이제 Logic은 TotalMix Output 3/4 를 통해서 TotalMix 메인으로 출력된다
  

같은 음원인데 유튜브, 아이튠즈 레벨이 Logic과 다른 경우가 자주 있었다. Logic 출력페이더인 AN 3/4 페이더는 0dB로 하고 AN 1/2 페이더는 적당한 위치에 놓고 사용하면 편할 것이다.

2024년 4월 19일 금요일

Sound Systems: Design and Optimization 메모 2

p.170.

스펙트럼 (Spectral) 써메이션 존 요약 

표준스펙트럼 써메이션 존 과정은 반드시 기억하고 있어야 한다.

 

 써메이션 존 요약

 Comb 주파수(F) =1/시간 오프셋

 커플링 존(Coupling zone)은 120위상 오프셋까지 지속된다(1/3 F = Peak 0의 끝)

 만일 레벨 오프셋이 <=4dB 이면, Combing zone은 120도 위상 오프셋에서 시작한다. Dip1 = 1/2 F, Peak 1 =F.

 트랜지션 존(Transition zone)은 레벨 오프셋이 4 ~ 10dB 사이일 때 120도오프셋에서 시작한다

 아이솔레이선 존(Isolation zone)은 위상 오프셋과는 관계없이 10dB 레벨 오프셋에서 시작한다

 

 

p.178.

써메이션 존 과정

써메이션 존은 몇 가지 표준 크로스오버 과정을 따른다. [그림 422 참조] A + B 를 더하고 그것들을 따라가자.

 

1단계(커플링(AB) : 지향성이 거의 없거나 전혀 없는 스피커는 근접 효과와 비슷하다 예 : 서브 우퍼

 

2단계(커플링(AB)에서 캔슬레이션(AB)까지 : 전면에서는 커플링, 후면에서는 캔슬레이션.  이 패턴은 카디오이드 어레이에서 사용된다.

 

3단계(아이솔레이션(A)와 커플링(AB)에서 아이솔레이션(B)까지) : 스펙트럼 크로스오버에서는 달성이 가능하지만, 풀 레인지 공간 크로스오버에서는 훨씬 어렵다. 주파수가 높아지면 더 많은 영역이 코밍 존과 트랜지션 존으로 이동할 것이라고 예상할 수 있기 때문에 현실적인 목표는 제거가 아니라 최소화이다.

 

5단계(아이솔레이션(A)에서 트랜지션(AB), 커플링(AB), 트랜지션(BA), 아이솔레이션(B)으로) : 커버리지 각도가 코밍을 방지하기 위해 충분한 아이솔레이션을 제공하는 경우 결합된 어레이에서 실제로 달성 가능하다.


7단계(이이솔레이션(A)에서 트랜지션(AB), 코밍(AB), 커플링(AB), 코밍(BA), 트랜지션(BA), 아이솔레이션(B)으로) : 이것이 전체 과정이다. 이런 과정은 코밍이 시작하기 전 아이솔레이션을 달성하기 힘들 때 발생한다. HF는 종종 유일한 실용적인 옵션일 경우가 있다. 커플링 혹은 아이솔레이션 존 보다는 코밍 존이 발생하는 경우, 낮은 등급으로 평가될 것이다.

 













2024년 4월 13일 토요일

Sound Systems: Design and Optimization 메모 1

 

 

p.25.

 1V = 0dBV = +2.21dBu

 8V = +18dBV = +20.21dBu

 0dBu = -2.21dBV (p.39.) 



p.28.

(위상) 응답 그래프에는 종종 360수직 스케일의 한계를 초과하위상 응답을 표시하는 

 “랩 어라운드(wraparound)"가 포함된다

 

 

p.29.

위상 변이 PHASE SHIFT : 단일 장치 또는 시스템 내부에서 발생

위상 오프셋 PHASE OFFSET : 장치 또는 시스템 사이에서 발생

 

 

p.40.

- dB SPL 피크 : 주어진 시간 동안 측정된 값들 중 최고 레벨을 피크라 부르며 dB SPLpk 로 나타낸다

dB SPL continuous(fast) : 250ms 동안 측정된 SPL 평균값. 이 방식은 짧은 시간 동안 발생한 사운드를 인지하는 인간의 청각 시스템 SPL/라우드니스 인식을 모방한 것. 인간의 귀가 사운드 레벨을 완전하게 인지하기 위해서는 100ms 정도가 필요하다

- dB SPL continuous(slow) : 비교적 긴 시간 동안 발생하는 사운드를 인지하는 인간의 청각 시스템을 모방하고, 열 부하를 더 잘 나타내기 위해 시간을 1초로 확장

 - dB SPL LE(long term) : 이 값은 아주 긴 시간 동안 측정된 값의 평균 SPL로, 일반적으로 수 분 동안 측정된다. 이 방식은 소음에 대해 민원이 있는 실외 콘서트의 레벨을 모니터링하는데 사용된다.



주택, 아파트 면적 확인하기

국토교통부에서 운영하는 누리집이라고 하는 곳이다 

K-Geo플랫폼 인터넷 (kgeop.go.kr)

 건물정보를 클릭한 후에 주소 써 넣고 검색하면 전용면적과 공용면적을 알 수 있다. 

 법적 효력은 없다고 한다.

 법적으로 정확한 것은 건축물대장을 발급받아야 한다고 한다.

 



2024년 3월 28일 목요일

Bob Mccarthy 책 번역본을 샀다


밥 매카시 Bob Mccarthy

유명한 사운드 시스템 엔지니어.

처음으로 알게된 건 2004년이었다.

그때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강의를 한것으로 알고 있다. 그때는 강의를 듣지 못했지만

그후로 몇 번 더 우리나라에 와서 강의를 했고 두 번인가 세번인가 강의를 들었다

그의 강의는 보통 며칠동안 진행되었는데 끝날때 쯤에는 감동이 밀려왔던 기억이 난다

기술에 대한 강의를 들으면서 감동할 줄은 정말 몰랐었다.

나중에 책이 나왔다는 소식을 듣고 영어실력도 안되면서 일단 구입했다

그 이후에 또 다른 강의에서 질문하나 잘 했다고 저자가 직접 사인한 책을 선물받았다

하지만 책을 읽기에는 여전히 영어가 너무 부족했다.

몇 달 전에 책을 PDF로 만들어서 구글 번역을 이용해서 읽기 시작했다

그런데 최근에 우리말로 번역되어 출판되었다는 소식을 들었다.

바로 샀다

내가 가지고 있던 책하고는 판본이 다른 2016년 개정판을 번역한 것이다.

저자에 대해서 알게된지 20여년 만에, 그의 첫번째 책이 나온게 2007년이니 17년 만에 번역되었다. 

하여간 너무 반가운 책이다.

이제 열심히 읽고 공부하는 일만 남았다.  

 

상품 이미지

 

구입처 링크  https://avmix.co.kr/111/?idx=334#prod_detail_detail

2024년 2월 3일 토요일

녹음, 믹싱 할 때 모니터링 레벨 설정



 

모니터 룸 스피커 레벨 설정 순서
  • 1. 아나로그 4dBu, 디지털 -20dBFS 로 설정
  • 2. 사인파로 모든 장비 레벨을 1번으로 맞춘다
  • 3. 핑크 노이즈, 500~2kHz 대역 제한. (20~20kHz로 하면 아주 잘 처리된 모니터 룸이 아닐 경우 반사음 등으로 레벨 측정이 잘못될 가능성이 크다)
  • 4. 각 장비들 레벨 설정이 가능하게, 이왕이면 아나로그 레벨 놉이 있는것으로.
  • 5. 아나로그 사운드 레벨 미터(VU 메타 형식) 준비. C웨이팅, slow 가능할 것
  • 6. 각 스피커별 83dB. 아주 잘 처리된 큰 방이 아닌 작은 곳이라면 훨씬 더 크게 들린다. 그에 맞춰 줄일 필요가 있다.
  • 7. 모니터 스피커 앰프를 최소로 낮춘다. 또는 전원을 끄거나 스피커와 연결하지 않는다.
  • 8. 앰프 이전 단계의 게인 스테이징을 맞춘다.
  • 9. DAW, 컴 등 각 지점에서 출력레벨을 최대로 올린다.
  • 10. 사인파 쏜다. 입력레벨은 출발지점에서부터 각 부분마다 미터에서 -20dBFS가 되도록 맞춘다.
  • 11. 최종적으로 앰프 직전 단계에서 사인파 레벨이 -20dBFS, +4dBu 가 되어야 한다.
  • 12. 이제 사운드 소스를 핑크노이즈로 바꾼다. 앰프와 스피커를 연결하고 전원을 켠다.
  • 12-1. 측정마이크 또는 사운드 레벨 미터는 하늘을 바라보게 듣는 위치에 설치.
  • 13. 청취지점에서 83dB 또는 목표로 하는 레벨이 될때까지 앰프의 레벨을 최소 지점에서 서서히 올린다(서서히 올리는 이유는 사운드 레벨 미터가 slow로 되어 있기 때문이다)
  • 14.청취 지점에서 정확히 이미지가 센터에 오는지 확인. 0.5dB만 틀려도 좌우로 치우친다. 매우 적은 움직임으로도 변하기 때문에 정확한 위치와 레벨 조절기의 미세한 움직임으로 설정해야 한다.
  • 15. 현재 내가 있는 공간 29.739 세제곱미터.
  • 16. 적정 레벨 74dB SPL

2024년 1월 7일 일요일

우라나라 음악영화 한 편…

 2020-09-27 일


다시 만난 그대


음악 영화





우리나라에 이런 음악 영화를 만들 사람들이 있구나. 생각도 의지도 역량도 다 되네. 


음악가들을 데리고 연기를 시키고 그렇게 영화를 만든 사람들. 


모처럼 잘 봤다. 


사운드도 이 정도면 좋은 편이다.  음악 믹싱도 좋은 편이고...


유튜브 내보낼 때 이렇게 믹싱해봐야겠다.  


출연자들 연주력이 좋고, 음악 실력이 전반적으로 좋다. 


영화 좋은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