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11월 17일 화요일

아마하 PM5D-RH 콘솔 레벨 미터 확인

야마하 콘솔을 사용한지 오래 되었다. 얼마전에 문득 입출력 레벨미터가 정확히 어떤 걸 가르키는지 궁금해졌다. 내가 처음 사용해본 콘솔은 맥기 1604 였다. 메뉴얼을 꼼꼼히 읽어가며 익혔던 기억이 난다. 거기에는 게인 설정할때 레벨미터를 보면서 하라고 되어있었다. 야마하 PM5D-RH 도 메뉴얼을 여러번 읽었었다. 그런데 레벨미터를 보면서 뭘 해야하는지는 나와있지 않았던 것 같다. M7CL 은 게인설정에 대해서 레벨미터를 보면서 하라고 나와있는데......

메뉴얼에는 없고 여기저기 물어봐도 정확한 답변은 없었다. 




PM5D-RH는 콘솔 자체에 오실레이터가 있지만 대체 레벨미터의 어디가 몇 dBu 인지 알 수가 없었다. 메뉴얼 마지막에 나와 있는 레벨도를 봤는데 오히려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있었다.

입력은 +30dBu 가 최대치라고 표기 되어있고 0dBu 가 -30dBFS로 표기 되어 있었다. 그렇다면 +4dBu는 -26dBFS일거라고 생각했다. 그림도 그렇게 나와있었다. 레벨미터와 그림에 나와있는 dBFS가 같을거라고 생각했다. 

출력레벨을 알아낼 장비가 없어서 고심을 하다가 구석에 쳐박혀 있던 타스캄 Tascam  BR-20 을 발견했다. 오래전에 임무를 마치고 구석에 쳐박혀 있던 릴 데크이다. Tascam BR-20 은 아나로그 테이프 레코더인데 여기에는 요즘 보기 힘든 아나로그 VU 메터가 있다. 이건 칼리브레이션 기능도 있다. 충분히 레벨 측정을 할 수 있겠다고 생각했다.

  1.  BR-20 레코더 간단히 청소. (2009년에 쳐박아놨던것)
  2. 콘솔있는곳으로 옮김 (상당히 무거워서 혼자 나르지 못하고 동료와 둘이 날랐다)
  3. BR-20 레코더 파워 연결
  4. Qbox 를 BR-20 레코더 인풋에 연결
  5. Qbox에서 -20dBm, +4dBm 출력
  6. BR-20 의 VU 메타 확인. +4dBm 쐈을때 0VU에 위치하는지 확인. 
  7. 정확하지 않으면 BR-20의 아래 쪽에 있는 cal-uncal 스위치를 uncal 로 선택
  8. Qbox 레벨이 조금 틀릴수도 있다. (Qbox 메뉴얼에 2dB정도 오차가 있을 수 있다고 나와있다.)
  9. VU메터 아래쪽 인풋 노브를 바늘이 0에 올때까지 서서히 돌린다. 바늘이 0에 오면 멈춘다. 
  10. Qbox 연결 해제
  11. 콘솔 메인 아웃에서 BR-20 레코더 인풋으로 연결
  12. 콘솔 채널 하나에 Qbox 연결, -20dBm, +4dBm 쏴본다
  13. 콘솔에 연결한 채널의 페이더와 마스터 페이더를 유니티 위치에 놓는다 
  14. BR-20 VU메터 보면서 0VU에 올때까지 콘솔의 채널 게인 노브를 1dB씩 올린다
  15. BR-20 의 메타가 0VU에 오면 게인 노브를 멈춘다. 
  16. 콘솔 인아웃 레벨미터(LED로 되어 있는것) 확인. 콘솔의 미터 섹션으로 들어가면 보다 세밀하게 수치를 볼 수 있다.
  17. Qbox 채널 뮤트. 콘솔 오실레이터 선택
  18. 사인파 1kHz, 출력은 메인 아웃풋 선택. 레벨은 최소
  19. VU 메터 보면서 오실레이터 신호 레벨 조금씩 올린다. 0VU 에서 멈추고 콘솔 출력 레벨 수치를 확인한다. 아마 16번에서 확인한 값과 같을 것이다. 이 수치가 콘솔 출력 레벨 +4dB 이다.

이렇게 해서 알아낸 PM5D-RH의 레벨...... 0dBu는 레벨미터 -26dB / +4dBu는 -22dBu 이다. 메뉴얼에 나와있는 레벨도를 보면서 잘못 알고 있었던 것이다. 내딴에는 -30dB 가 0dBu라고 떠들어 댔었다. 무식하면 용감하다더니......


며칠 지나고 다시 생각해보니 더 쉽고 간단한 방법이 있었다.

  1. Qbox를 콘솔에 연결
  2. 게인값 최소.
  3. +4dBm 쏜다. 입력레벨미터가 중간쯤 오게 게인 올린다. 입력 레벨 미터 확인
  4. 게인 설정 그대로 두고 Qbox 연결 케이블 뺀다
  5. 콘솔 오실레이터 켠다
  6. 메인 L 로 출력 설정
  7. 메인 출력 L 에서 Qbox 연결했었던 채널로 케이블 연결
  8. 오실레이터 레벨 서서히 올린다
  9. 입력레벨미터가 Qbox 에서 +4dBm 쐈을 때와 같은 위치에 오면 멈춘다
  10. 출력레벨미터 확인. 이 위치가 +4dB 이다.
이렇게 하면 굳이 타스캄 BR-20을 힘들게 꺼낼 필요가 없었던 것이다. 타스캄 BR-20은 몇 번 파워 스위치를 켰다 껐다 했더니 이제 파워가 들어왔다 나갔다 한다. 그래서 타스캄 BR-20의 아나로그 VU메타를 믿을 수 있는가 하는 의심도 생겼다.

다시 며칠후...

어처구니 없게도 자료하나를 발견했다.
야마하 LS 9 콘솔   에 대한 팁을 정리한 야마하 자료이다. 4쪽 10번 항목에 내가 며칠동안 헤맸던 답이 있었다. 좀 허망하다. 여전히 남는 의문은 PM5D-RH 메뉴얼 레벨도에 있는 입력레벨 부분이다. 그리고 이런 내용이 왜 PM5D-RH 매뉴얼에는 없는 것일까......?


하여간 내 측정이 잘못됐던 것이다. 타스캄 BR-20의 아나로그 VU메타가 잘못되었건 Qbox 출력레벨이 잘못되었건......타스캄 BR-20의 아나로그 VU메타가 정상인데 Qbox가 메뉴얼대로 2dB의 오차가 있던지...양쪽 다 잘못되었을까? Qbox에서 +4dBm을 쏘면 타스캄에서 0VU 를 가리킨다.

어쨌건 야마하 PM5D-RH 콘솔은 입출력 레벨미터에서 -24는 0dBu 이고 -20은 +4dBu 로 만들어져 있다. 


참고   Qbox 사용기 - 콘솔 레벨미터 확인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