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8월 19일 수요일

차베스, 미국과 맞짱뜨다.

파란만장한 한사람의 삶과  한 나라의 모습이다. 무척 재미있고 통쾌한 부분도 있다. 우리도 이렇게 될 수 있을까? 일단 신자유주의를 거부하고 우리나라 스스로의 힘으로,  우리 민중의 힘으로 우리 운명을 열어나갈 자신감을 가져야 할텐데... 정치하는 이들이 민중을 생각하지 않으니 너무 먼 얘기가 되는 것 같다. 

다음은 책 일부를 옮긴 것이다.
 
새 헌법이 포함하고 있는 또 다른 여성의 권리는 사회가 가정주부들의 가사노동에 대해 보장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헌법에 이렇게 쓰여 있다. "국가는 노동권 적용에서 남성과 여성에게 평등하고 공정한 대우를 보장해야 한다. 국가는 가사노동을 사회복지와 건강을 생산해내며 부가가치가 있는 경제활동으로 인식한다.  - 121쪽


베네수엘라는 소수의 권력과 부를 독점한 사람들의 땅이었다. 베네수엘라는 세계적으로 미인, 석유, 과소비 등으로 유명했지만 이것은 지배계층 소수에 국한된 것일 뿐이며, 대다수의 민중들은 착취와 수탈 속에 신음하고기만당하며 살아왔다. 그러나 이제는 베네수엘라 민중들이 세상에 대해 제대로 깨닫고 하나의공통된 변혁 과정(볼리바리안 혁명)에 단결해서 참여하고 있다. 

민중이 사회의 주인으로 나서고 있는 것이다. 차베스는 이러한 변화를 다음과 같이 설명하고 있다. 

"2002년 말부터 2003년 초반에 걸쳐 한창 우리가 '석유 테러'라고 불렀던 석유파업이 있었을 때. 베네수엘라의 기득권층과 그들의 국제 동맹세력(미 제국주의)이 석유 정제소들을 파괴하고, 수백만 리터의 우유를 버리고, 가축들을 죽였습니다. 그래서 먹을 것이 없었습니다. 그들의 계획은 사회 붕괴, 혼란 등을 야기하는 것이었습니다. 우리는 다방면으로 엄청난 노력을 했지만 석유도 없고 천연가스도 없고 음식물도 거의 없었습니다. 

나는 피델이 우리에게 콩을 가득 실은 배를 보내주면서 전화로 '나중에 여건이 되면 갚아라'라고 말한 것을 기억합니다. 다른 물품들은 브라질에서 왔습니다. 우리는 콜롬비아로부터 우유, 고기, 석유들을 구입할 수 있었습니다. 그 당시 사람들은 몇 리터의 연료를 사기 위해 사흘 나흘을 기다리기도 했습니다. 

그 힘든 어느 날 오후에 나는 몇몇 동지들에게 저 산골마을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직접 보고 싶다고 말했습니다. 그래서 우리들은 산골마을로 갔습니다. 거리는 분주했습니다. 사람들은 쌀, 바나나 등을 찾아다니고 있었습니다. 우리가 근처를 다닐 때 사람들이 우리에게 인사하기 시작했습니다. 나는 그들에게 상황이 어떠냐고 물어보았습니다. 

그러던 중 강한 인상의 흑인 할머니가 내 손을 꼭 잡고 끌어당기면서 자신의 집으로 초대했습니다. 우리가 집에 들어갔을 때 그들은 장작 위에 냄비를 올려놓고 쌀, 감자, 파초 등을 요리하고 있었습니다. 

노인은 나의 눈을 지그시 보더니 양복저고리를 잡고 말했습니다.

'차베스, 내 집에는 의자가 남아 있이 않아요. 당신이 보고 있는 저 장작이 침대 다리에요. 우리는 가구, 지붕을 뜯어서 불을 피울겁니다. 우리는 문도 떼어낼지 모르겠군요. 그렇게 해서 요리를 할 거예요. 하지만 절대 물러나지 마세요, 차베스.'

우리가 이 나라에서 무엇을 하려는지 알고 있는 300만 명의 사람들이 노인과 같은 신념을 갖고 있습니다."


이제 베네수엘라 민중들은 이전에 볼리바르가 꾸었던 꿈, 모두 단결해서 하나의 국가를 만드는 꿈을 꾸고 있다. 라틴아메리카를 하나로 통합해서 제국주의에 맞서고 완저한 해방을 쟁취하는 꿈 말이다. 이 과정은 매우 어렵겠지만 종국에는 성공할 것이다. 쿠바 민중, 베네수엘라 민중, 볼리비아 민중, 브라질 민중이 우리는 하나라는 자각을 가지고 제국주의에 맞서서 일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 170,171 쪽

 이 책이 나오고 이미 10년 가까이 흘렀다. 차베스는 더 많은 일을 하지 못하고 죽었고 중남미 국가들은 더 나은 미래를 향해 각자의 길을 가고 있다. 세상이, 세대가 바뀌고 있는 10여년이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