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향 일을 하다보면 여러가지 케이블을 사용한다.
그중에 멀티케이블을 사용할 때는 보다 빠르고 정확한 연결을 위해서 커넥터에 칼라링을 끼워서 쓰는 경우가 많다.
상당히 효율적이다.
칼라코드 순서에 맞춰서 검,갈,빨,주,노,초,파,보,회,백.... 등등을 쓴다.
예전에 뉴트릭에서 나온 일반적인 칼라링과는 다르게 이번에 작업할 때 쓴건 보다 예쁘게 나왔다.
힘으로만 하면 손톱 깨진다.
요령있게 해야 한다.
먼저 커넥터를 풀고 한 쪽을 밀어 올린다
8채널 케이블 말고 한채널 짜리 XLR 케이블에는 길이에 따라 나눠서 칼라링을 끼웠다.
5m, 7m, 10m, 15m 케이블이 있는데 많이 쓰는 5m 부터 검,갈...순으로 나눴다.
이제 '쌩초보'에게 일 시킬때 "저기 가서 빨간색 링이 끼워져 있는 케이블 6개만 가져와..."라고 쉽게 시킬수 있다. 이런 작지만 아주 요긴한 것들이 '좋은 장비'와는 다른 면에서 일을 크게 도와준다.
그중에 멀티케이블을 사용할 때는 보다 빠르고 정확한 연결을 위해서 커넥터에 칼라링을 끼워서 쓰는 경우가 많다.
상당히 효율적이다.
칼라코드 순서에 맞춰서 검,갈,빨,주,노,초,파,보,회,백.... 등등을 쓴다.
예전에 뉴트릭에서 나온 일반적인 칼라링과는 다르게 이번에 작업할 때 쓴건 보다 예쁘게 나왔다.
멀티케이블을 보면 칼라코드나 번호가 써있는 경우가 많다.
하나에 20개씩 들어있었다.
뉴트릭이라고 써 있다
작업하다 보니 원래 끼워져 있던 검은색 링들이 ...
힘으로만 하면 손톱 깨진다.
요령있게 해야 한다.
먼저 커넥터를 풀고 한 쪽을 밀어 올린다
밀려 올라간 쪽을 잡고 반대쪽을 밀어 올리면 빠진다.
순서에 맞춰서 칼라링을 끼운다. 반드시 순서와 칼라를,인아웃을 맞춰서 해야 한다.
인아웃이 잘못될 바엔 차라리 안하는게 낫다.
노란색 링을 구하지 못해서 노란색은 빠졌다.
30cm 정도 되는 F-F, M-M 케이블.
보라색과 파란색으로 구별했다.
보라색과 파란색으로 구별했다.
8채널 20미터 이상 케이블 작업 완료!
8채널 짧은 케이블 작업 완료!
8채널 케이블 말고 한채널 짜리 XLR 케이블에는 길이에 따라 나눠서 칼라링을 끼웠다.
5m, 7m, 10m, 15m 케이블이 있는데 많이 쓰는 5m 부터 검,갈...순으로 나눴다.
이제 '쌩초보'에게 일 시킬때 "저기 가서 빨간색 링이 끼워져 있는 케이블 6개만 가져와..."라고 쉽게 시킬수 있다. 이런 작지만 아주 요긴한 것들이 '좋은 장비'와는 다른 면에서 일을 크게 도와준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